Wednesday, December 31, 2008

110 백강잠산(白殭蠶散)




110 백강잠산(白殭蠶散)


黃桑葉40 木賊12 旋覆花12 荊芥穗12 白殭蠶12 甘草12 細辛20

肺가 虛해서 바람과 冷氣를 맞으면 눈물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二錢씩 荊芥湯으로 服用한다. 혹 탕을 만들어 써도 좋다.




111 하고초산(夏枯草散)




111 하고초산(夏枯草散)


夏枯草80 香附子40 甘草20

肝이 虛해서 눈동자가 아프고 시리어 눈물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一名 補肝散이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해서 一錢씩 食後에 茶淸으로 服用한다.




112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112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紫石英80 朱砂40 沈香20

眼昏을 다스린다. 오래 服用하면 눈을 밝게 할 수 있다.

① 磁石法水는 腎으로 들어가고, 朱砂法火는 心으로 들어가고 沈香은 水火를 升降시킨다.

[用法] 위의 藥末들을 神麯 二兩으로 쑨 풀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空心에 鹽湯이나 미음으로 三十~五十丸을 삼킨다.




113 세안탕(洗眼湯)




113 세안탕(洗眼湯)


當歸4 黃連4 赤芍藥2 防風2 杏仁 四箇

갑자기 赤眼이 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물 반 종지에 넣은 데다 사람젖을 조금 타고 끓여서 증기가 가신 뒤에 맑은 上澄液을 취하여, 따뜻한 것으로 하루 四~五차례 눈을 씻는다.

[活套] 生地黃을 加하면 더욱 좋다.




114 황금탕(黃芩湯)




114 황금탕(黃芩湯)


片芩4 梔子4 桔梗4 赤芍藥4 桑白皮4 麥門冬4 荊芥4 薄荷4 連翹4 甘草2

肺火가 성해서 콧구멍이 건조하고 瘡腫이 나면서 아픈 것을 다스린다.

[用法] 食後에 服用한다.






115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115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川芎4 當歸4 赤芍藥4 生地黃4 片芩4 紅花4 赤茯苓4 陳皮4 甘草2

酒齄鼻를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달인 물에 五靈脂末 一錢을 타서 食後에 服用한다.






116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116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連翹5 黃芩3 梔子3 桔梗3 黃連3 薄荷3 當歸3 生地黃3 枳殼3 赤芍藥3 甘草3

三焦의 火가 盛하여 입 안이 허는 症狀을 다스린다.

[活套] 肺胃에 熱結하여 發斑하면 升麻葛根湯을 合方해서 쓴다.






117 황련탕(黃連湯)




117 황련탕(黃連湯)


黃連4 梔子4 生地黃4 麥門冬4 當歸4 赤芍藥4 犀角2 薄荷2 甘草2

心火로 인하여 혀가 헐고 건조해지고, 열이 나거나 혹은 혀끝에서 피가 나오고, 혹은 혀가 굳어지는 증을 다스린다.

[活套] 열이 심하면 九味淸心元 2알을 調合해서 먹는다.




118 청대산(靑黛散)




118 청대산(靑黛散)


黃連12 黃柏12 靑黛2 馬牙硝2 朱砂2 石雄黃1 牛黃1 硼砂1 龍腦0.4

중혀를 다스리며, 또한 목안이 헐거나 붓거나 아픈증을 다스린다.

[用法] 먼저 薄荷汁으로 입 안을 닦아내고 이 약을 바른다.




119 용석산(龍石散)




119 용석산(龍石散)


寒水石120 朱砂10 龍腦1

입 안과 혀가 헐고 목 안이 부어서 막히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하루 3~5번씩 患處에 바른다.




120 청위산(淸胃散)




120 청위산(淸胃散)


升麻8 牧丹皮6 當歸4 黃連4 生地黃4

胃熱로 因해 상하 齒痛이 참을 수가 없고 滿面에 發熱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약간 차게 해서 服用한다.
① 老衰하고 虛弱한 사람은 服用하지 못한다.




121 사위탕(瀉胃湯)




121 사위탕(瀉胃湯)


當歸4 川芎4 赤芍藥4 生地黃4 黃連4 梔子4 牧丹皮4 荊芥4 薄荷4 防風4 甘草4

齒牙의 疼痛을 神通하게 다스린다.




122 옥지산(玉池散)




122 옥지산(玉池散)


地骨皮4 白芷4 細辛4 防風4 升麻4 川芎4 當歸4 槐花4 藁本4 甘草4

風齒나 蟲齒로 동통이 나고 이가 흔들리고 진무르거나 혹은 骨槽風으로 변성하여 피고름이 나오고 뼈가 드러나는 증 등을 다스린다.

[用法] 水煎해서 더운 것으로 含水하고, 식으면 뱉는다.




123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123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馬牙硝80 寒水石80 石膏80 甘草40 牛膽南星30 紫石英20 牛黃6 龍腦6 麝香6

목 안이 붓고 입 안과 혀가 헐고 턱과 뺨이 부으면서 열이 나고 담이 막히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 一兩으로 삼십환씩 蜜丸을 지어 한알씩 薄荷湯으로 씹어서 먹는다.

*紫石英은 불에 달구어서 물로 깨끗이 씻어 쓴다.




124 취후산(吹喉散)




124 취후산(吹喉散)


膽礬4 枯白礬4 焰硝4 片腦4 山豆根4 辰砂4 鷄內金4

목젖이 부어 축 늘어지면서 아픈 것과 일체의 인후병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극히 細末로하여 竹管으로 인후에 조금씩 자주 불어 넣으면 卽效가 난다.




125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125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桔梗8 甘草4 荊芥4 防風4 黃芩4 薄荷4 玄參4

風熱로 咽喉가 붓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用法] 천천히 먹는다.




126 박하전원(薄荷煎元)




126 박하전원(薄荷煎元)


薄荷600 桔梗200 甘草160 防風120 川芎120 砂仁20

風熱을 없애고, 痰涎을 삭혀서 咽喉가 막힌 것을 通利하게 하고,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코피와 大小便의 便血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들 一兩쭝으로 三十丸의 蜜丸을 지어 한알씩 보드랍게 씹어 차나 술로 삼킨다.
① 內局方에는 白豆蔲가 있다.






127 용뇌고(龍腦膏)




127 용뇌고(龍腦膏)


薄荷600 甘草120 防風120 川芎120 桔梗120 焰硝40 白豆蔲 三十粒 砂仁 五粒 片腦2

목 안이 잠겨서 붓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用法] 藥味들의 粉末을 彈子大의 蜜丸으로 지어 噙化해서 삼킨다.




128 회수산(回首散)




128 회수산(回首散)


烏藥順氣散 加 羌活 獨活 木瓜

머리와 목이 뻣뻣하고, 筋肉이 攣急되고, 혹은 베개를 잘못 베고 자서 목을 돌리지 못하는 것을 다스린다.




129 삼합탕(三合湯)




129 삼합탕(三合湯)


烏藥順氣散 合 二陳湯 香蘇散 加 羌活

등심이 뜨끔뜨끔 아픈 것을 다스린다.




130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130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牛蒡子16 荊芥8 防風8 甘草4 犀角 6

丹毒과 斑疹 및 癮疹을 다스린다.

[活套] 敗毒散과 合方해도 좋다.

[用法] 물을 쳐서 갈아 服用한다.




131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131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蘇葉3 陳皮3 香附子3 烏藥3 川芎3 蒼朮3 羌活3 南星3 半夏3 當歸3 桂枝2 甘草2

부인의 七情, 六鬱로 經絡이 氣滯하여 手足이 麻痺된 것을 다스린다.

[活套] 手足이 麻痺되고 疼痛이 나면 威靈仙, 牛膝, 木瓜를 加하고 附子도 조금 加한다.

[用法] 竹瀝을 넛고 生薑汁으로 調服한다.




132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




132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


半夏6 蒼朮6 片芩3 白朮3 南星3 香附子3 陳皮2 赤茯苓2 威靈仙1 甘草1

痰飮으로 因해 팔이 아파 들어 올릴 수 없는 것을 다스린다.

[活套] 冷이 있는 사람은 片芩을 빼고 桂枝를 加해서 쓴다.




133 서경탕(舒經湯)




133 서경탕(舒經湯)


薑黃8 當歸4 海桐皮4 白朮4 赤芍藥4 羌活2 甘草2

氣血이 經絡에 凝滯하여 팔이 아파 들어 올릴 수 없는 것을 다스린다.
① 一名 通氣飮子인데, 沈香을 넣고 汁을 조금씩 服用한다.

[活套] 寒濕이 經絡에 凝滯한 데는 桂枝, 薏苡仁 각 三錢을 加하고 附子를 조금 加하면 經絡이 풀린다.
② 經絡이 痰滯되었으면 南星, 半夏, 烏藥, 白芥子 각 一錢을 加하고, 술 두 숟가락을 타서 먹는다.




134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134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蒼朮4 黃柏4 蘇葉3 赤芍藥3 木瓜3 澤瀉3 木通3 防己3 檳榔3 枳殼3 香附子3 羌活3 甘草3

濕熱로 因한 脚氣로 붓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① 疼痛에는 木香을 加한다.
② 붓는 데는 大腹皮를 加한다.
③ 熱이 나면 黃連과 大黃을 加한다.




135 빈소산(檳蘇散)




135 빈소산(檳蘇散)


蒼朮8 香附子4 蘇葉4 陳皮4 木瓜4 檳榔4 羌活4 牛膝4 甘草2

風濕으로 因한 脚氣의 腫痛, 拘攣을 다스린다. 이 약을 쓰면 氣道를 疏通시킨다. 작용이 묘하다.

[活套] 麻痺되면 威靈仙을 加한다.
① 疼痛이 심하면 乳香 三~五分을 加해서 調服한다.




136 반총산(蟠蔥散)




136 반총산(蟠蔥散)


蒼朮4 甘草4 三棱3 蓬朮3 白茯苓3 靑皮3 砂仁2 丁香皮2 檳榔2 玄胡索1 官桂1 乾薑1

脾胃의 虛冷이 心腹을 공격하여 刺痛하다가 胸脇, 膀胱, 小腸에까지 뻗쳐 아픈것과 腎氣의 作痛을 다스린다.




137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137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草龍膽4 柴胡4 澤瀉4 木通2 車前子2 赤茯苓2 生地黃2 當歸2 山梔2 黃芩2 甘草2

肝臟의 濕氣로 因한 남자의 陰挺과 여자의 陰의 痒瘡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138 신성대침산(神聖代鍼散)




138 신성대침산(神聖代鍼散)


乳香4 白芷4 沒藥4 當歸4 川芎4 芫靑4

血積疝痛과 諸疝刺痛에 이 약을 먹으면 神通한 效力이 난다.

[用法] 위의 藥末을 매번 一分씩 服用하되, 산통이 심하면 五分씩 服用한다. 먼저 좋은 차 한잔에다 넣은 다음, 藥末을 혼합하면서 차 위에 떠 있는 것을 불어 날리지 말고 저어서 당장에 천천히 마신다.




139 귤핵환(橘核丸)




139 귤핵환(橘核丸)


橘核40 海藻40 昆布40 海帶40 桃仁40 川楝子40 玄胡索20 厚朴20 枳實20 桂心20 木香20 木通20

4종의 㿗疝 즉 卵核의 腫脹이 大小로 혹은 돌같이 굳게 한쪽씩에 나는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을 酒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溫酒나 鹽湯으로 육십~칠십 알씩 삼킨다. 오래도록 㿗疝症이 없어지지지 않으면 醋煮한 䃃砂 二錢을 加한다.




140 삼산탕(三疝湯)




140 삼산탕(三疝湯)


車前子10 茴香6 沙參3

膀胱氣로 因한 腫痛을 다스린다.






141 진교창출탕(秦芃蒼朮湯)




141 진교창출탕(秦芃蒼朮湯)


秦艽4 皂角仁4 桃仁4 蒼朮3 防風3 黃柏2 當歸稍1 澤瀉1 檳榔1 大黃1

熱, 濕, 風, 痰이 합해서 痔가 된것을 다스린다. 腸頭에 덩어리지는 것은 濕과 熱이 합쳐진 것이이요, 便秘되는 것은 燥이다.

[用法] 위의 藥味 중에서 檳榔, 桃仁, 皂角仁 三味를 제외한 나머지 七味를 水煎해서 건더기를 버리고, 앞서 제외했던 三味를 넣고 다시 달여서 空心에 뜨겁게 해서 먹는다. 좋은 반찬을 먹어서 內服한 약을 누르는 것이 좋다.




142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142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當歸8 升麻8 槐花3 靑皮3 荊芥3 白朮3 熟地黃3 川芎2

腸風射血과 濕毒下血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二錢씩 空心에 미음으로 調服한다.

[活套] 水煎服해도 좋다.




143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143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白芍藥6 黃芪4 甘草4 陳皮3 升麻3 生地黃2 牧丹皮2 生甘草2 當歸1 熟地黃1 蒼朮1 秦艽1 肉桂1

腸澼下血이 갈래를 만들어 힘차게 멀리까지 내쏘면서 배가 아픈 것을 다스린다. ① 空心에 服用한다.






144 삼인고(三仁膏)




144 삼인고(三仁膏)


萆麻子仁 麻子仁 杏仁 各等分

癰疽가 처음 생기는 데 쓰면 神效를 본다.

[用法] 위의 3가지의 仁을 作末하여 白淸으로 고루 調合해서 붙인다.

[活套]
① 밀가루와 麯末을 加하면 더욱 좋다.
② 毒이 심하면 蒼耳子, 木鱉子, 白殭蠶, 木綿子仁을 加한다.
③ 挾痰했으면 南星과 半夏를 加한다.
④ 熱腫에는 大黃을 加한다.
⑤ 瘡口를 터뜨리려면 紫金錠과 白丁香을 加한다.
⑥ 화농을 觸診하려면 桂心을 加한다.
⑦ 經絡을 통하게 하려면 草烏를 加한다.




145 신성병(神聖餠)




145 신성병(神聖餠)


當歸2 白芷2 爐甘石2 乳香2 沒藥2 石雄黃2 熊膽2 硼砂2 海螵蛸2 輕粉2 巴豆霜2 麝香2 朱砂2 胡桐淚1

瘡口에 삽입하면 나쁜 것을 제거하고 새 살을 나게 한다.

[用法]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白芨餠에 이겨서 바늘처럼 가늘게 만들어 瘡口에 꽂는다.

*熊膽은 물에 떨어뜨려서 줄이 되면서 흩어지지 않는 것이라야 진짜다.




146 선유량탕(仙遺糧湯)




146 선유량탕(仙遺糧湯)


土茯苓28 防風2 木瓜2 木通2 薏苡仁2 白鮮皮2 金銀花2 皂角刺2

楊梅風瘡에 輕粉을 잘못 服用하여 살이 헐고 뼈가 상한것을 다스린다.
① 一日 三會 服用한다.




147 단분환(丹粉丸)




147 단분환(丹粉丸)


輕粉8 黃丹4 石雄黃4 鐘乳粉4 琥珀2 乳香2 枯白礬2

楊梅瘡을 다스린다.
[活套]
① 腦後가 먼저 傷했으면 荊芥湯에 藁本 一錢을 가해서 服用한다.
② 이마가 傷했으면 이 丹粉丸에 獨活을 加해서 쓴다.
③ 足心이 傷했으면 桂皮를 加한다.
④ 陰處가 傷하면 靑皮를 加한다.
⑤ 肢節이 傷하면 穿山甲을 加한다.
⑥ 유방밑이 傷하면 柴胡를 加한다.
⑦ 입과 코가 傷하면 枳殼을 加한다.
⑧ 用藥 후에 咽喉症이 생기면 仙遺糧湯 三十貼을 쓴다.

[用法] 위의 藥末을 糯米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空心에 荊芥, 雀舌 煎湯으로 十丸 내지 十五丸을 삼킨다.

⑨ 鱔魚湯으로 삼키면 더욱 좋다. 麝香 二分을 加하면 아프지 않고 가렵지 않고 咽喉症도 나지 않는다.




148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148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柴胡8 梔子5 牧丹皮5 赤茯苓4 川芎4 赤芍藥4 當歸4 牛蒡子4 靑皮2 甘草2

肝, 痰에 火가 盛해서 귀뒤, 목, 가슴, 유방 등에 멍울이 생기는 것을 다스린다.




149 주귀음(酒歸飮)




149 주귀음(酒歸飮)


酒當歸6 白朮6 酒片芩4 酒芍藥4 川芎4 陳皮4 酒天麻3 蒼朮3 蒼耳子3 酒黃芩2 酒甘草2 防風1

痘瘡을 다스린다.

① 一日 三會 服用하며, 服用후에는 잠시 포근히 자는 것이 좋다.





Monday, December 29, 2008

150 활혈구풍탕(活血驅風湯)




150 활혈구풍탕(活血驅風湯)


蒼朮2 杜冲2 肉桂2 天麻2 薏苡仁2 橘紅2 檳榔2 厚朴2 枳殼2 當歸2 川芎2 白芷2 細辛2 白蒺藜2 桃仁2 白芍藥2 半夏2 五靈脂2 甘草2

腎臟風瘡의 瘙痒과 痛症을 다스린다. 이는 肝腎이 虛하여 風濕이 侵入하기 때문이다.

[用法] 乳香末을 조금 넣어서 空心에 服用한다.




151 비급환(備急丸)




151 비급환(備急丸)


大黃40 乾薑40 巴豆霜40

卒暴死하는 모든 것과 暴疾의 百病, 및 中惡, 客忤, 鬼擊, 口噤, 갑작스런 氣絶 등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末을 小豆大로 蜜丸을 지어 술에 타서 돈복하거나 溫水로 服用해도 좋다.




152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




152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


香附米600

月經不調를 다스린다.

[用法]
① 香附米 한근을 四包로 나눈다.
② 한포는 鹽水를 탄 生薑汁에 담갔다가 삶아서 약간 炒한다.(주로 痰을 내린다.)
③ 한포는 醋에 담갔다가 약간 炒한다.(주로 血을 補한다.)
④ 한포는 山梔子 四兩과 함께 炒하되 山梔子는 버린다.(주로 鬱을 헤친다.)
⑤ 한포는 童便에 씻기만 하고 炒하지 않는다(주로 火를 내린다.)
⑥ 위의 藥味들을 作末하여, 川芎과 當歸의 粉末 각 二兩을 넣고 酒麵糊로 梧子大의 丸을 지어 五十~七十丸씩 證에 따라 作湯해서 마신다.




Sunday, December 28, 2008

153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153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香附子760

月經不調와 癓瘕가 結成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香附子 14냥을 7포로 나눈다.
① 제 1포는 當歸 二兩과 함께 酒浸하고,
② 제 2포는 蓬朮 二兩과 함께 童便浸하고
③ 제 3포는 牡丹皮, 艾葉 각 一兩과 米泔浸하고,
④ 제 4포는 烏藥 二兩과 함께 米泔浸하고,
⑤ 제 5포는 川芎, 玄胡索 각 一兩과 함께 水浸하고,
⑥ 제 6포는 三稜, 柴胡 각 一兩과 함께 醋浸하고,
⑦ 제 7포는 紅花, 烏梅 각 一兩과 함께 鹽水浸한다.
⑧ 이상과 같이 浸한 가지를 봄에 오일간, 여름에는 삼일간, 가을에는 칠일간, 겨울에는 십일간 볕에 말려서 香附子만 취하여 作末한 다음, 앞서 浸藥했던 浸水로 풀을 쑤어 梧子大의 丸을 지어 잠자리에 들 때 술로 팔십환을 삼킨다.



154 통경탕(通經湯)



154 통경탕(通經湯)


當歸3 川芎3 白芍藥3 生乾地黃3 大黃3 官桂3 厚朴3 枳殼3 枳實3 黃芩3 蘇木3 紅花3

月經閉止를 다스린다.



155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155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香附子6 三棱4 蓬朮4 赤芍藥4 白芍藥4 當歸尾4 靑皮4 烏藥3 紅花2 蘇木2 官桂2

月經閉止와, 뱃속에 積塊가 있고 痰이 있어서 疼痛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술을 조금 넣어서 달여 먹는다.



Saturday, December 27, 2008

156 우슬탕(牛膝湯)



156 우슬탕(牛膝湯)


冬葵子8 滑石8 木通6 當歸6 牛膝6 瞿麥6

産後에 胞衣가 나오지 않고 下腹部가 膨滿해져서 곧 죽게 되는 것을 다스린다.



157 羚羊角湯(영양각탕)



157 羚羊角湯(영양각탕)


羚羊角5 獨活5 酸棗仁5 五加皮5 防風3 薏苡仁3 當歸3 川芎3 白茯神3 杏仁3 木香2 甘草2

子癎을 다스린다.



158 택사탕(澤瀉湯)



158 택사탕(澤瀉湯)


澤瀉6 桑白皮6 赤茯苓6 枳殼6 檳榔6 木通6

子淋을 다스린다.



159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159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白芍藥6 白朮6 當歸4 白茯苓4 澤瀉4 條芩4 檳榔3 黃連3 木香3 甘草3

子痢를 다스린다.

[活套]
① 子痢에는 黃芩, 黃連을 빼고 乾薑을 加한다.
② 暑에는 香薷와 白扁豆를 加한다.
③ 胎가 不安하면 大腹皮, 砂仁을 加한다.
④ 대개 産前의 諸症에는 大科門에 의거하는 증에 따라 加減한다.




160 실소산(失笑散)




160 실소산(失笑散)


五靈脂 蒲黃 各等分

産後에 兒枕痛과 臍腹痛으로 참을 수 없는 증을 다스린다.

[活套]

① 혹은 湯用으로 만들어서 달인 후에 좋은 식초 1숟가락을 타서 服用한다.
② 川芎, 當歸를 倍加하고 山査肉, 玄胡索, 桂心, 澤瀉, 澤蘭葉 따위를 加한다.






161 기침산(起沈散)




161 기침산(起沈散)


當歸8 白芍藥8 川芎6 白芷3 桂心3 蒲黃3 牧丹皮3 玄胡索3 五靈脂3 沒藥3

兒枕痛을 다스린다.

[用法] 좋은 식초를 타서 空心에 마신다.






162 우황고(牛黃膏)




162 우황고(牛黃膏)


朱砂12 鬱金12 牛黃10 牧丹皮8 甘草4 龍腦2

産後에 熱이 血室로 들어 간 것을 다스린다.

[用法] 위의 藥味들로 皂子같이 蜜丸을 지어 一丸을 우물물에 타서 먹는다.

[活套] 痘後의 瘡疹과 眼疾 및 遺熱에도 좋다.





163 이비탕(理脾湯)



163 이비탕(理脾湯)


厚朴6 蒼朮4 陳皮4 神麯4 麥芽4 山査肉4 乾薑3 砂仁2 甘草2

産後에 食傷으로 인해 胸膈이 飽悶하고 寒熱이 있어 음식 생각이 없는 증을 다스린다.
① 泄瀉를 하면 白朮과 赤茯苓을 加한다.
② 便閉되면 桃仁과 紅花를 加한다.
③ 尿澁하면 大腹皮와 車前子를 加한다.

[活套] 위의 藥味 중의 麥芽는 母乳를 삭히는 성질이 있으므로 꼭 쓸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