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January 4, 2009

22 평위산(平胃散)




22 평위산(平胃散)


蒼朮8 陳皮6 厚朴4 甘草2

脾를 調和시키고 胃를 튼튼하게 한다. 胃가 調和되고 氣가 順平하면 服藥을 중지한다. 常服은 不可하다.
① 白茯苓, 丁香, 白朮을 加한 것은 調胃散이다.
② 乾薑을 加한 것은 厚朴湯이다.
③ 五苓散과 合方한 것은 胃笭湯이다.
④ 藿香과 半夏를 加한 것은 不換金正氣散이며,
⑤ 神麯과 麥芽를 加한 것은 加味平胃散이라고 한다.

[活套] 食滯에는 山査, 神麯, 麥芽, 檳榔, 枳實, 蘿菔子, 砂仁, 草果 따위를 加한다.

⑥ 暑滯에는 香薷散과 合方해서 쓰는데, 이것은 香平散이라고 한다.
⑦ 便血에는 山査 二錢, 當歸, 枳殼, 地楡 各 一錢, 荊芥 七分을 加한다.
⑧ 寒熱에는 小柴胡湯을 合方하는데, 이것을 柴平湯이라고 하며, 瘧疾도 다스린다.
⑨ 滯痢에는 枳殼, 檳榔, 黃連 각 一錢, 木香 五分을 加한다.
⑩ 만일 泄瀉를 하면 四苓散과 合方한 데다가 燈心, 車前子 따위를 加하되 증세에 따라 적당히 加減한다.
⑪ 孕婦의 諸症에는 蒼朮을 白朮로 바꾸고, 半夏, 神麯 等의 藥만은 忌한다.
⑫ 冷積에는 乾薑과 桂枝를 加한다.
⑬ 酒滯에는 乾葛 혹은 葛花, 良薑, 草豆蔲 따위를 加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